Machineboy空
보조기억장치 ② RAID Level 본문
RAID의 정의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redundant: 불필요한, 중복의 >> 필요이상으로 준비해두는 것
- 하드 디스크와 SSD로 사용하는 기술
- 데이터의 안전성 혹은 높은 성능을 위해 여러 물리적 보조기억장치를 마치 하나의 논리적 보조기억장치처럼 활용하는 기술
RAID의 종류 ( RAID 레벨 )
- RAID를 구성하는 기술
- RAID 0, RAID 1, RAID 2, RAID 3, RAID 4, RAID 5, RAID 6
- 그로부터 파생된 RAID 10, RAID 50
RAID 0
RAID 구성 기술 중 0번째.
데이터를 단순히 나눠서 저장하는 구성 방식
*스트라입 (stripe) : 마치 줄무늬처럼 분산되어 저장된 데이터
*스트라이핑 (striping) : 분산하여 저장하는 것
장점 | 단점 |
입출력 속도의 향상 | 저장된 정보가 안전하지 않다. |
RAID 1
* 미러링(mirroring): 복사본을 만드는 방식
장점 | 단점 |
백업과 복구가 쉽다. RAID 0에 비해 안정성 | - 쓰기 속도가 느리다 (데이터를 쓸 때 원본과 복사본 두 군데에 쓰기 때문) - 하드 디스크 개수가 한정되었을 때 사용가능한 용량이 적어진다. (복사본이 만들어지는 용량만큼 사용 불가 → 많은 양의 하드 디스크 필요 → 비용 증가) |
RAID 4
(RAID 1 처럼 완전한 복사본을 만드는 대신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기 위한 정보 (패리티 비트)를 저장
패리티를 저장한 장치를 이용해 다른 장치들의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가 있다면 복구
* 공학적 의미의 패리티 비트는 오류 검출만 가능할 뿐 오류 복구는 불가능 but RAID 4의 패리티는 복구도 가능
장점 | 단점 |
RAID 3의 개선 | 패리티 디스크의 병목 (데이터를 새로 쓸 때마다 반드시 패리티에도 저장을 해야 하기 때문에 하드디스크4의 업무 몰빵) |
*병목(영어: bottleneck) 현상은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나 용량이 하나의 구성 요소로 인해 제한을 받는 현상을 말한다. "병목"이라는 용어는 물이 병 밖으로 빠져나갈 때 병의 몸통보다 병의 목부분의 내부 지름이 좁아서 물이 상대적으로 천천히 쏟아지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
RAID 5
패리티 정보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방식.
RAID 6
각 RAID 레벨마다 장단점이 있다.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최우선으로 원하는지에 따라 최적의 RAID 레벨은 달라질 수 있다.
각 RAID 레벨의 대략적인 구성과 특징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빠른 입출력 하고 싶어. → RAID 0
안전하고 싶어 → RAID 1, 6
'Computer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출력장치 ② 다양한 입출력 방법 - 프로그램 입출력, 인터럽트 기반 입출력, DMA 입출력 (1) | 2024.01.10 |
---|---|
입출력장치 ① 장치 컨트롤러와 장치 드라이버 (0) | 2024.01.10 |
보조기억장치 ① 하드디스크와 플래시 메모리, Garbage Collection (2) | 2024.01.09 |
메모리 ③ 캐시 메모리, 참조 지역성(Locality of Reference)의 원리 (1) | 2024.01.08 |
메모리 ② 메모리의 주소 공간 - 논리 주소, 물리 주소 (2)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