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 (246)
Machineboy空
N의 범위가 1000이하로 매우 작기 때문에 n2^시간 복잡도 알고리즘으로 풀 수 있다. N = int(input()) A = [0] * N for i in range(N): A[i] = int(input()) for i in range(N-1): for j in range(N-1-i): if A[j] > A[j+1]: temp = A[j] A[j] = A[j+1] A[j+1] = temp for i in range(N): print(A[i])
from queue import PriorityQueue import sys print = sys.stdout.write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myQueue = PriorityQueue() for i in range(N): request = int(input()) if request == 0: if myQueue.empty(): print('0\n') else: temp = myQueue.get() print(str((temp[1]))+'\n') else: myQueue.put((abs(request),request))
VM(Virtual Machine)의 정의 VM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운영체제를 포함하여 컴퓨터와 거의 동일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의 가상화된 인스턴스입니다. 가상 머신은 물리적 머신에서 실행되며 하이퍼바이저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에서 컴퓨팅 리소스에 엑세스한다. 하이퍼바이저: 물리적 머신의 리소스를 필요에 따라 프로비저닝 및 배포를 할 수 있는 풀로 추상화하여 여러 VM이 단일 물리적 머신에서 실행되도록 한다. VM(Virtual Machine)의 장단점 장점 가상 머신은 유지 및 관리가 간편하며 범용성이 뛰어나다. 하나의 물리적 컴퓨터에서 여러 운영 체제 환경을 실행할 수 있다. 멀티 플랫폼과 대응이 가능하다 (android, ios 등 모든 플랫폼에서 빌드 가능) 재해 복구 및 애..
#오답 whole, part = map(int, input().split()) DNA = str(input()) A,C,G,T = map(int, input().split()) Acount = 0 Ccount = 0 Gcount = 0 Tcount = 0 AvailableCount = 0 for i in range(whole-part): k = i + part for k in range(part+k): if DNA[i]=="A": Acount +=1 elif DNA[i]=="C": Ccount +=1 elif DNA[i]=="G": Gcount +=1 elif DNA[i]=="T": Tcount +=1 if Acount >= A and Ccount >=C and Gcount >=G and Tcount >..
n = int(input()) count = 1 start_index = 1 end_index = 1 sum = 1 while end_index !=n: if sum == n: count +=1 end_index +=1 sum += end_index elif sum >n: sum -= start_index start_index +=1 else: end_index +=1 sum += end_index print(count) 오답 이유) 이런 똑똑한 알고리즘이 있다니
정렬의 종류버블 (bubble)데이터의 인접 요소끼리 비교하고, swap 연산을 수행하며 정렬하는 방식선택 (selection)대상에서 가장 크거나 작은 데이터를 찾아가 선택을 반복하면서 정렬하는 방식삽입 (insertion)대상을 선택해 정렬된 영역에서 선택 데이터의 적절한 위치를 찾아 삽입하면서 정렬하는 방식퀵 (quick)pivot 값을 선정해 해당 값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식병합 (merge)이미 정렬된 부분 집합들을 효율적으로 병합해 전체를 정렬하는 방식기수 (radix)데이터의 자릿수를 바탕으로 비교해 데이터를 정렬하는 방식 버블정렬(Bubble Sort)두 인접한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해 정렬하는 방법시간복잡도는 n2^으로 다른 정렬 알고리즘보다 속도가 느리다.시간복잡도 n2^ : n = ..
질의(inquiry)와 같은 뜻 - 파일의 내용 등을 알기 위해서 몇 개의 코드(code)나 키(key)를 기초로 질의하는 것 -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 자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을 통해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자유로이 조회할 수 있는 기능 이러한 질의어들이 구조적으로 체계화된 것을 SQL(structed query language)라고 한다. * 백준에서의 예제 입력 속 질의(query)의 뜻
배열(Array) 리스트(List) 개념 메모리의 연속 공간에 값이 채워져 있는 형태의 자료구조 값과 포인터를 묶은 노드라는 것을 포인터로 연결한 자료구조 장점 인덱스를 사용하여 값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접근 속도가 느리다 (인덱스가 없으므로 포인터부터 순서대로 접근해야하므로) 단점 1 삽입, 삭제가 어렵다.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연산 속도가 빠르다. 단점 2 한 번 선언 후 크기를 늘리거나 줄이기 어렵다 크기가 가변적 * 파이썬에서의 리스트는 배열과 리스트의 장점만 모아둠 배열의 Index로 접근 가능 리스트의 가변적인 크기 연결리스트 (Linked List) //기본 노드(data, pointer) 구성 class Node{ constructor(data){ this.data = data;..
